1. 모듈 번들러의 개요
1.1 모듈 번들러란 무엇인가?
모듈 번들러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여러 자원(예: JavaScript, CSS, 이미지 파일 등)을 하나의 파일 또는 여러 개의 그룹으로 병합하고 압축하는 도구이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요청 수를 줄이고, 로딩 속도를 향상시키며, 코드의 유지 보수성을 높일 수 있다.
1.2 모듈 번들러의 필요성
• 의존성 관리: 모듈 간의 의존성을 자동으로 파악하여 올바른 순서로 로드되도록 한다.
• 네임스페이스 충돌 방지: 전역 스코프 오염을 방지하여 변수나 함수 이름의 충돌을 예방한다.
• 파일 크기 최적화: 사용하지 않는 코드를 제거하고(minification), 코드를 난독화하여 파일 크기를 줄인다.
• 개발 편의성: 모듈 단위의 코딩을 가능하게 하여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 보수성을 높인다.
2. 주요 모듈 번들러 소개
2.1 Webpack
Webpack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모듈 번들러 중 하나로,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강력한 기능을 제공한다. 다양한 플러그인과 로더를 통해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며,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성능 최적화에 유리하다. 그러나 설정이 복잡할 수 있어 초기 학습 곡선이 있을 수 있다.
2.2 Vite
Vite는 빠른 개발 서버와 최적화된 빌드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ES 모듈을 기반으로 하여 브라우저가 ES 모듈을 직접 해석할 수 있도록 하여 전통적인 번들링 과정을 생략하기 때문에 개발 환경에서의 빌드 속도가 매우 빠르며, 변경 사항이 즉시 반영된다. 또한, 설정이 간단하고 사용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2.3 Rollup
Rollup은 ES 모듈을 사용하여 최적화된 번들을 생성하며, 트리 쉐이킹(tree-shaking) 기능을 통해 사용하지 않는 코드를 제거하여 최종 번들의 크기를 줄인다. 복잡한 애플리케이션보다 라이브러리 개발에 더 적합한 도구이다.
3. Webpack과 Vite의 비교
3.1 개발 서버 성능
• Webpack: 모든 파일을 미리 번들링하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개발 중에는 필요하지 않은 자원까지도 처리해야 하므로 초기 빌드 및 HMR(Hot Module Replacement) 속도가 느릴 수 있다.
• Vite: ES 모듈을 기반으로 하는 개발 서버를 제공하여, 파일을 실제로 번들링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모듈을 개별적으로 서빙하는 방식으로 동작시킨다. 따라서 모듈이 변경될 때마다 해당 모듈만 다시 번들링하므로 개발 서버의 속도가 매우 빠르다.
3.2 빌드 속도 및 최적화
• Webpack: 다양한 로더와 플러그인을 통해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지만, 설정이 복잡하고 프로젝트 규모가 커질수록 빌드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 Vite: ES 모듈을 기반으로 하여 브라우저가 ES 모듈을 직접 해석할 수 있도록 하여 전통적인 번들링 과정을 생략하기 때문에 개발 환경에서의 빌드 속도가 매우 빠르며, 변경 사항이 즉시 반영된다.
3.3 설정 및 확장성
• Webpack: 다양한 플러그인과 로더를 통해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지만, 설정이 복잡하여 초기 학습 곡선이 있을 수 있다.
• Vite: 설정이 간단하고 사용하기 쉬우며, 최신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와의 호환성도 뛰어나다.
<추가. 모듈 번들러의 일반적인 실행 순서>
1. 엔트리 포인트 설정 : 애플리케이션의 시작 파일을 지정한다. 이 파일을 기준으로 의존성 그래프를 생성하기 시작한다.
2. 의존성 그래프 생성: 엔트리 포인트에서 시작하여, 해당 파일이 의존하는 모든 모듈과 그 하위 모듈들을 재귀적으로 탐색하여 의존성 그래프를 구축한다. 이를 통해 모듈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어떤 모듈이 어떤 순서로 로드되어야 하는지 결정한다.
3. 모듈 처리 및 변환: 의존성 그래프를 기반으로 각 모듈을 처리한다. 이 과정에서 로더(Loader)를 사용하여 JavaScript 외의 파일(CSS, 이미지 등)을 변환한다. 예를 들어, css-loader와 style-loader를 사용하여 CSS 파일을 JavaScript 모듈로 변환하고, 이를 <style> 태그로 삽입한다. 또한, file-loader를 사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처리하고, 해당 파일의 URL을 반환한다.
4. 번들 생성: 모든 모듈이 처리되면, 이를 하나 이상의 번들 파일로 합친다. 이를 통해 브라우저가 모든 모듈을 하나의 파일로 로드할 수 있게 되어 네트워크 요청 수를 줄이고, 로딩 속도를 향상시킨다.
5. 코드 스플리팅 및 최적화: 필요에 따라 코드 스플리팅을 통해 번들을 분할하고, 사용하지 않는 코드를 제거하는 등의 최적화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번들 크기를 줄이고,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참고한 자료>
- https://f-lab.kr/insight/web-development-build-tools-comparison?utm_source=chatgpt.com
웹 개발에서의 다양한 빌드 도구 비교: Webpack, Rollup, Vite
Webpack, Rollup, Vite의 특징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빌드 도구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f-lab.kr
- https://npm-compare.com/ko-KR/vite,webpack
webpack vs vite: "웹 개발 번들러" NPM 패키지 비교
"웹 개발 번들러" NPM 패키지 비교 webpack vs vite
npm-compare.com
'Web Development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C] 어떤 기능을 개발하기 전 생각해볼 것 (2) | 2024.04.24 |
---|---|
[ETC] 정규식 (Regex) 이해하기 (0) | 2024.04.02 |
[GTM, GA4] GTM, GA4 을 통해서 웹사이트 내의 고객 활동 추적하기 (0) | 2023.02.16 |
[ETC, Amazon EC2] 탄력적 IP (1) | 2023.02.15 |